본문 바로가기
전자제품,IT

블로그 작성글 몇글자인지 간단히 글자수 세기

by 이야기 상자 2021. 3. 15.

흔히 우리가 수익창출을 위해 블로그를 하게되면 광고를 배치할수 있도록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각 수익창출 플랫폼 마다 수익승인의 기준은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어느정도 분량의 글자수를 채워주는게 좋다고들 많이들 알고 있을겁니다. 예를 들자면 글자수가 1000자나 1500자 이상 써야 좋다던지, 아니면 2000자를 넘는 글을 써야 승인이 빨리 된다던지 하는 것들이죠. 그런데 글을 쓰는데 일일이 숫자를 세어가면서 쓰는건 정말 귀찮고 힘든 일입니다. 글을 정신없이 써내려가다가 글자 수를 셀려면 정말 짜증이 나겠죠. 이럴때 한번에 글자수를 확인할수 있는 아주 간단하고 쉬운방법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쉽고 간단하게 내가 쓴 글의 글자수를 세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네이버 검색창에서 '글자수세기'를 치고 검색을 누릅니다.

 

그럼 아래 사진과 같은 '글자수세기' 창이 하나 화면 중앙에 뜨게 됩니다. '텍스트를 입력해주세요.'라고 쓰인 네모 박스 안에 자기가 작성한 글을 복사(ctrl+c) 한다음 붙여넣기(ctrl+v) 해줍니다. 

네모 상자안에 작성한 글이 올라가게 되고 즉각적으로 공백을 포함한 글자수와 공백을 제외한 글자수가 카운터 되어 표시되는걸 확인할수 있습니다. 제가 쓴 글의 공백을 포함한 글자수는 328 글자이고 공백을 제외한 순수 글자수는 252글자라고 나오네요. 이렇게 네이버 글자수세기 기능을 이용하면 편하고 쉽게 작성글의 글자수와 용량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별건 아니지만 알면 정말 유용하게 써먹을수 있습니다. 글자수를 세어보고 싶을때에 꼭 사용해 보세요.